1 - 전신연습+키어+디코더

전신 연습을 위한 좋은 제품이 있어서 소개합니다.

QSO 코흐법을 기본으로 한 전신 연습 기능과 함께 메모리 기능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신 초보자의 연습용뿐만 아니라 실전 교신을 위한 용도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합니다.

해외에도 비슷한 제품이 있지만, 송신연습의 기준이 까다로워서 초보자에게는 어려움이 있습니다. 이 제품은 속도에 따라 기준을 조절하였으며, 한글의 연습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한/영 송수신 연습을 위한 완벽한 해결책이 되리라 생각합니다.

특히 디코더로 키잉연습을 하면 자신의 키잉에 어떤 문제 또는 특징이 있는지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.

이 제품은 햄블라스터, CW 디코더 등 다양한 햄용 악세서리를 개발/제작하신 DS1PDF님이 제작하셨습니다.

  • 설계 : DS1PDF, HL5KY
  • 개발 및 제작 : DS1PDF



제품 특징

  • 1.8인치 LCD
  • 오실레이터 내장
  • 전자키어 기능
  • QSO 코흐법 연습 기능 (한/영)
  • 전신 게임 기능 (수신/송신 동시 연습)
  • 4개의 메모리 기능 (CQ 등 메모리 가능)
  • 무전기 연결 출력 제공
  • 디코더 기능 (한/영/일)

MorseRino-32와의 차이점

  • 공제품이지만 회로의 대부분이 조립되어 있음
  • 디코더는 한글, 영문, 일본어 모오스의 디코딩이 가능
  • 한글 모오스의 연습이 가능함
  • 큰 디스플레이 (1.8인치. Morserino-32는 0.96인치. 면적대비 약 4배)
  • 게임 연습을 초보자에게 맞도록 조절
  • 실전 사용이 가능하도록 4개의 메모리 설정 가능

공동제작 형식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. 관심있는 분은 QSO 코흐법 연습기 공동 제작 신청 에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  • 무전기의 신호도 디코딩할 수는 있으나, 키잉습관, 잡음, 혼신 등의 상태에 따라 디코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
2 - 버튼 및 메뉴 구성





1. 버튼
버튼에는 아래와 같이 라벨링을 해 두면 편리합니다.




2. 공통 버튼



3. 메뉴 구성


3 - 영문부호 단계별 내용

단계별 학습 부호

단계새로운 부호전체 학습 부호
1 단계D, E알파벳 : D, E
2 단계C, Q알파벳 : C, D, E, Q
3 단계1, 4, 0알파벳 : C, D, E, Q
숫자 : 1, 4, 0
4 단계K, 5, 6알파벳 : C, D, E, K, Q
숫자 : 1, 4, 5, 6, 0
5 단계A, R, 2, <AR>알파벳 : A, C, D, E, K, Q, R
숫자 : 1, 2, 4, 5, 6, 0
ProSign : <AR>
6 단계I, S, 9, <SK>알파벳 : A, C, D, E, I, K, Q, R, S
숫자 : 1, 2, 4, 5, 6, 9, 0
ProSign : <AR>, <SK>
7 단계T, 3, 7알파벳 : A, C, D, E, I, K, Q, R, S, T
숫자 : 1, 2, 3, 4, 5, 6, 7, 9, 0
ProSign : <AR>, <SK>
8 단계M, N, 8, < . 마침표>알파벳 : A, C, D, E, I, K, M, N, Q, R, S, T
숫자 : 1 ~ 0
ProSign : <AR>, <SK>
문장부호 : < . 마침표>
9 단계X, < , 쉼표>알파벳 : A, C, D, E, I, K, M, N, Q, R, S, T, X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<AR>, <SK>
< . 마침표>, < , 쉼표>
10 단계L, < ? 물음표>알파벳 : A, C, D, E, I, K, L, M, N, Q, R, S, T, X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<AR>, <AS>, <SK>
문장부호 : < . 마침표>, < , 쉼표>, < ? 물음표>
11 단계H, Z알파벳 : A, C, D, E, H, I, K, L, M, N, Q, R, S, T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<AR>, <AS>, <SK>
문장부호 : < . 마침표>, < , 쉼표>, < ? 물음표>
12 단계J, O알파벳 : A, C, D, E, H, I, J, K, L, M, N, O, Q, R, S, T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<AR>, <AS>, <SK>
문장부호 : < . 마침표>, < , 쉼표>, < ? 물음표>
13 단계B, P, <BT>알파벳 : A, B, C, D, E, H, I, J, K, L, M, N, O, P, Q, R, S, T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<AR>, <AS>, <BT>, <SK>
문장부호 : < . 마침표>, < , 쉼표>, < ? 물음표>
14 단계G, < / 빗금>알파벳 : A, B, C, D, E, G, H, I, J, K, L, M, N, O, P, Q, R, S, T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13 단계와 동일
문장부호 : 문장부호 : < . 마침표>, < , 쉼표>, < ? 물음표>, < / 빗금>
15 단계U, W알파벳 : A, B, C, D, E, G, H, I, J, K, L, M, N, O, P, Q, R, S, T, U, W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13 단계와 동일
문장부호 : 14 단계와 동일
16 단계F, V알파벳 : A, B, C, D, E, F, G, H, I, J, K, L, M, N, O, P, Q, R, S, T, U, V, W, X,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13 단계와 동일
문장부호 : 14 단계와 동일
17 단계Y알파벳 : A ~ Z
숫자 : 8 단계와 동일
ProSign : 13 단계와 동일
문장부호 : 14 단계와 동일

4 - 한글부호 단계별 내용

단계별 학습 부호

단계새로운 부호전체 학습 부호
1 단계ㄱ, ㄴ, ㅏ자음 : ㄱ, ㄴ
모음 : ㅏ
2 단계ㅅ, ㅇ, ㅣ자음 : ㄱ, ㄴ, ㅅ, ㅇ
모음 : ㅏ, ㅣ
3 단계ㅂ, ㅊ, ㅛ자음 : ㄱ, ㄴ, ㅂ, ㅅ, ㅇ, ㅊ
모음 : ㅏ, ㅛ, ㅣ
4 단계ㄷ, ㅡ, ㅐ자음 : ㄱ, ㄴ, ㄷ, ㅂ, ㅅ, ㅇ, ㅊ
모음 : ㅏ, ㅛ, ㅡ, ㅣ, ㅐ
5 단계ㅎ, ㅗ, ㅔ자음 : ㄱ, ㄴ, ㄷ, ㅂ, ㅅ, ㅇ, ㅊ, ㅎ
모음 : ㅏ, ㅗ, ㅛ, ㅡ, ㅣ, ㅐ, ㅔ
6 단계ㄹ, ㅈ, ㅓ자음 : ㄱ, ㄴ, ㄷ, ㄹ, ㅂ, ㅅ, ㅇ, ㅈ, ㅊ, ㅎ
모음 : ㅏ, ㅓ, ㅗ, ㅛ, ㅡ, ㅣ, ㅐ, ㅔ
7 단계ㅁ, ㅑ, ㅕ자음 : 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ㅅ, ㅇ, ㅈ, ㅊ, ㅎ
모음 : ㅏ, ㅑ, ㅓ, ㅕ, ㅗ, ㅛ, ㅡ, ㅣ, ㅐ, ㅔ
8 단계ㅌ, ㅍ, ㅜ자음 : 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ㅅ, ㅇ, ㅈ, ㅊ, ㅌ, ㅍ, ㅎ
모음 : ㅏ, ㅑ, ㅓ, ㅕ, ㅗ, ㅛ, ㅜ, ㅡ, ㅣ, ㅐ, ㅔ
9 단계ㅋ, ㅠ자음 : ㄱ, ㄴ, ㄷ, ㄹ, ㅁ, ㅂ, ㅅ, ㅇ, ㅈ, ㅊ, ㅋ, ㅌ, ㅍ, ㅎ
모음 : ㅏ, ㅑ, ㅓ, ㅕ, ㅗ, ㅛ, ㅜ, ㅠ, ㅡ, ㅣ, ㅐ, ㅔ

5 - 전신연습장치 사용시 부호연습방법

1. 영문/한글 공통 유의사항

  • [부호]연습은 최소 3번 또는 익숙해질때까지 듣는다.

  • [부호]연습은 적을 필요 없고, [조합]부터는 적으면서 연습한다.

  • 가능하면 소문자로 적고, 공백은 띄워서 적는다.

  • [SW3] 또는 [NEW]을 누를 때마다 내용이 바뀐다.

  • 매 과정에서 목표속도로, 세 차례를 연속해서 90% 이상 수신이 되면,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.
    몇 퍼센트인지 숫자를 셀 필요없이 대략 90% 정도면 된다.

2. 영문 부호 단계별 학습내용 및 유의사항
영문 부호 각 단계의 학습시에 미리 읽고 참고한다.


1단계

유의사항

  • [10/3]은, 속도 10wpm, 부호간격 3을 목표로 연습한다는 뜻임.
  • 수신이 어려우면, [부호간격]을 늘여서 연습한 후, 익숙해지면 간격을 줄여서 연습한다.
  • 스페이스는 띄어서 적는다. 처음에는 어려우므로 띄우도록 노력하는 정도로 한다.

2단계

유의사항

  • 수신이 어려우면, [부호간격]을 늘여서 연습한 후, 익숙해지면 간격을 줄여서 연습한다.
  • 스페이스는 띄어서 적는다. 처음에는 어렵지만 단계가 진행되면 익숙해진다.

3단계

내용

  • DE : This is 의 약어. “여기는"이라는 뜻.
  • 3단계에 나오는 호출부호의 프리픽스는 대부분 임의로 만든 것임.

유의사항

  • 수신이 어려우면, [부호간격]을 늘여서 연습한 후, 익숙해지면 간격을 줄여서 연습한다.
  • 호출부호의 연습에서는,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호출부호를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
4단계

내용

  • K : ‘CQ DE 호출부호 K’의 형식에서 K는 over라는 뜻으로 송신이 끝났음을 알림. (참고: CQ를 낼 때는 로 끝나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실제로 K의 사용도 많이 하고 있음)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 (DX교신에서 프리픽스를 알면 큰 도움이 되므로 전신 연습시에 하나씩 익혀두면 좋습니다) 6K5 : 한국.
    K로 시작하는 K, KC, KD, KK는 전부 미국.
    나머지 프리픽스는 임의로 만든 것임.

유의사항

  • 수신이 어려우면, [부호간격]을 늘여서 연습한 후, 익숙해지면 간격을 줄여서 연습한다.
  • 호출부호의 연습에서는,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호출부호를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
5단계

내용

  • [부호 <AR>]의 설명
    A와 R을 붙여서 송신하는데, 이런 부호를 프로사인(ProSign)이라고 한다. 적을 때는, AR 위에 선을 그어서 표시한다. <AR>은 end of message 라는 뜻으로 송신의 끝을 나타냄. ‘CQ DE 호출부호 <AR>‘의 형식으로 사용함. 연습이나 실제 교신에서는 프로사인을 받아 적을 필요가 없음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2E0 : 영국. G, M 등도 영국.
    A로 시작하는 AC, AD, AE는 전부 미국.
    RA, RC, RD : 러시아.
    나머지 프리픽스는 임의로 만든 것임.

유의사항

  • 수신이 어려우면, [부호간격]을 늘여서 연습한 후, 익숙해지면 간격을 줄여서 연습한다.
  • 호출부호의 연습에서는,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호출부호를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
6단계

내용

  • DR : Dear의 약자. ‘친애하는’의 뜻임. ‘DR KIM’등으로 이름의 앞에 사용함.
  • <SK> : 교신종료. <VA>로 표기하기도 하며 같은 뜻임.
  • 이름 : AKI, ED, RICK, DICK, ERIC 은 교신에서 자주 접하는 사람 이름임.

유의사항

  • 단어/문장의 연습시, 각 단어가 무슨 뜻인지 생각하면서 연습한다.
  • 6단계의 단어는 사람 이름 및 무전기 모델명의 연습임.
  •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이름과 무전기 모델을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
7단계

내용

  • <SK> : 교신종료. <VA>로 표기하기도 하며 같은 뜻임.
  • QRA : Q부호. 무선국명. 아마추어무선에서 ‘이름’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함.
  • QRT : Q부호. 송신 중단.
  • RST : 신호리포트. Readability/Strength/Tone (해독도/강도/음색)
  • TKS : Thanks의 약자. 감사. TNX를 사용하기도 함.
  • ES : AND (그리고)의 약어.
  • 73 : Best regards. 교신의 마지막에 하는 인사. 주로 남자무선사가 사용함.
  • E : Bye. 안녕. 보통 두 번 송신하는 경우가 많음. 마지막에 한 번씩 더 송신하여 아쉬움을 표현하기도 함.
  • 이름 : AKI, ED, RICK, DICK, ERIC, TED 는 교신에서 자주 접하는 사람 이름임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CT : 포르투칼.
    DS : 한국.
    EA : 스페인.
    I, IT : 이태리.
    K로 시작하는 KA, KC, KD, KE, KI, KS, KT, KQ는 전부 미국.
    R로 시작하는 R, RA, RC, RD, RT는 전부 러시아.
    TA : 튀르키예 (터키)

유의사항

  • 문장 연습의 초기에는 2,3회 정도 내용을 보고,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  • 단어/문장의 연습시, 무슨 뜻인지 생각하면서 연습한다.
  •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이름과 무전기 모델 그리고 리포트를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
8단계

내용

  • QRM : Q부호. 혼신.
  • QRN : Q부호. 공전잡음. 공간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잡음.
  • QRS : Q부호. 천천히. ‘PSE QRS’등의 표현으로 사용함.
  • 5NN : N은 숫자 9의 약부호임. 5NN은 599을 뜻함. 적을 때도 599으로 적어야 함.
  • 숫자 약어 : 숫자 1, 9, 0은 약어를 많이 사용함. 1( . _ A와 같음 ) 9( _ . N과 같음 ) 0( _ T와 같음)
  • ANT : Antenna의 약어.
  • ES : And의 약어.
  • KDN :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에서 정한 지역 번호. Korean District Number.
  • 88 : Love and kisses. 교신의 마지막에 하는 인사. 주로 여자무선사가 사용함.
  • 이름 : NICK,MASA,KENT,MIKE,MARTIN,SAM,DAN,STAN,KIM,KEN,MARK 는 교신에서 자주 접하는 사람 이름임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3D2 : 피지.
    N : 미국.

유의사항

  • 문장 연습의 초기에는 2, 3회 정도 내용을 보고,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  • 단어/문장의 연습시, 무슨 뜻인지 생각하면서 연습한다.
  • 문장의 연습에서는 예측 수신을 하여도 된다.
    예> NAME 다음에는 IS 또는 이름이 나온다는 것을 예측.
  • 실제 교신에서 상대의 이름과 무전기 모델 그리고 리포트를 받아적는다는 생각을 하면서 수신한다.
    예를 들어, “RST IS 57N"을 수신했다면, 적을 때는 “579"으로 적고 리포트가 “579"이라고 이해해야 함.

9단계

내용

  • QRX : Q부호. 기다리시오. 기다리겠다.
  • ES : And의 약어. 두 문장의 중간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.
  • DX : Distance의 약자로 원거리 또는 원거리교신을 뜻함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4X4 : 이스라엘.
    8N : 일본.
    CX : 우루구아이.
    DK : 독일.
    XE : 멕시코.
    XX9 : 마카오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연습에서는 예측 수신을 하여도 된다.
    예> NAME 다음에는 IS 또는 이름이 나온다는 것을 예측.
  • 억지로 예측하는 것은 좋지 않지만, 예측이 되는 것을 피할 필요는 없다.
  • 예측이 된다는 것은 내용을 이해한다는 것이다.
  • 내용을 이해하면서 연습하는 것이 코흐법과 QSO 코흐법의 차이점이다.

10단계

  • QRL : Q부호. 바쁘다. 주파수를 사용하는고 있는지 확인할 때 ‘QRL?‘로 확인함.
  • <AS> : 기다리시오. 교신 도중에 누군가가 ‘QRL?‘ (이 주파수에서 누군가 교신중입니까?) 이라고 송신하면, 이에 대해서 <AS>를 송신하여 교신 중임을 알림.
  • ES : And의 약어. 두 문장의 중간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.
  • DX : Distance의 약자로 원거리 또는 원거리교신을 뜻함.
  • 이름 : LIM, LEE 는 교신에서 자주 접하는 사람 이름임.
  • 새로운 형식의 연습 - ‘한국호출부호 DE 호출부호 K’
    CQ를 내는 무선국을 호출하는 형식. 실제로는, 이때 나의 호출부호는 두 번 정도 송신해 주는 것이 좋다. 갑자기 호출부호가 나오므로 수신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앞의 호출부호는 한국무선국의 호출부호로 구성하였다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DL : 독일. DK, DB, DF 등도 독일.
    LA : 노르웨이.
    SM : 스웨덴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  • 문장의 연습에서는 예측 수신을 하여도 된다.
    예> 일반적인 짧은 교신에서는 NA를 수신한 다음에는 NAME이 예측된다.
  • 동일한 내용을 연습하다보면 예측이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니 굳이 피할 필요가 없다.

11단계

내용

  • QRZ : Q부호. 누가 나를 호출합니까. 보통 뒤에 ?를 함께 사용함. QRZ?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HL, 6L : 한국.
    HA : 헝가리.
    HS : 타일랜드.
    ZL : 뉴질랜드.
    ZS : 남아프리카공화국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2단계

내용

  • QTH : Q부호. 위치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7J, 8J : 일본.
    JA, JE, JI, JK, JM, JN, JQ, JR, JS : 일본.
    JT : 몽골리아.
    OH : 핀란드.
    OK : 체코공화국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3단계

내용

  • <BT> : Start new section of message. 새로운 문장의 시작.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도 함.
  • QTH : Q부호. 위치.
  • QSB : Q부호. 페이딩.
  • QSL : Q부호. 수신을 확인하다의 뜻으로, 교신 후에 교환하는 QSL카드를 의미함.
  • OP : Operator의 약어. 운용자. 운용자의 이름을 말할 때, ‘NAME IS’를 ‘OP IS’라고 하기도 함.
  • TEMP : Temerature의 약어. 온도.
  • C : Centigrade 또는 Celsius의 약어. 섭씨 온도.
  • ABT : About의 약어. 약.
  • PSE : Please의 약어.
  • RPRT : Report의 약어. 상대가 나에게 보낸 리포트.
  • DP : Dipole의 약어. 다이폴 안테나.
  • LOOP : LOOP 안테나.
  • HEXBEAM : 헥사빔 안테나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BA, BD, BT, BZ : 중국.
    SP : 폴란드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4단계

내용

  • QRP : Q부호. 소출력.
  • RIG : 무전기, 장비.
  • AGN : Again의 약어. 다시.
  • GM, GA, GE, GB : Good Morning, Good Afternoon, Good Evening, Good Bye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G : 영국. 2E0, M 도 영국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5단계

내용

  • MINUS : 마이너스.
  • HPE CUAGN : Hope to see you again의 약어. 다시 만나기 바랍니다.
  • TU : Thank you (for the QSO). 교신에 감사하다는 뜻으로 교신의 마지막에 주로 사용함.
    교신에 대해서 감사하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‘TU QSO’ 라고 하지 않고 그냥 TU 만 송신함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DU : 필리핀.
    LU : 아르헨티나.
    UA : 러시아.
    W로 시작하는 WA, WB, WC, WD는 전부 미국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6단계

내용

  • FER : For의 간단약어. FOR라고 송신하여도 됨. ‘TNX FER QSO’등의 형식으로 사용함.
  • BURO : Bureau의 약어. 단체. ‘PSE QSL VIA BURO’라고 하면, QSL카드를 협회를 통하여 보내 달라는 뜻임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BV : 대만.
    F : 프랑스.
    VE : 캐나다.
    VK : 호주.
    VU : 인도.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

17단계

내용

  • WX : Weather의 약어. 날씨.
  • QSY : Q부호. 이동. 주로 주파수의 변경이란 뜻으로 사용.
  • DN : Down의 약어. ‘QSY DN2’라고 하면, 2kHz 아래쪽 주파수로 이동하자는 뜻임.
  • 호출부호의 프리픽스
    PY : 브라질.
    YB, YC, YD : 인도네시아.
    YU : 세르비아 (구.유고슬라비아)

유의사항

  •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2, 3회 정도 읽고 뜻을 이해한 후 연습한다.